+ 에듀쎈
Q 국어공부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요.
질문이 매우 어렵습니다. 국어는 물론 학교에서 필수과목입니다. 국어책 만드는 집필진이나 국어 교사들도 체계적으로 국어를 가르치려고 노력은 합니다. 그런데 국어를 잘한다는 게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는 게 문제입니다.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잘 가르쳐 주겠지, 잘 공부하겠지 한다고 해서 잘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입니다.
제 오랜 경험으로는 어려서 책을 많이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물론 더 어려서는 부모들이 아이를 옆에 앉혀 놓고 책을 읽어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. 그렇게 해서 일찍 언어 능력이 계발된 아이만이 국어 공부에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.
어려서 부모가 책을 들려주면 그 아이는 자연스럽게 책에 가까워지게 되고 그림책이든, 동화책이든 찾게 됩니다. 물론 한글도 일찍 접하고 뗄 수 있게 됩니다. 이 과정이 제가 생각하기에는 국어공부 능력의 50% 이상을 좌우하는 것 같습니다.
이렇게 해서 어느 정도 국어공부 준비가 된 아이들이 학교로 들어오면 그 다음에는 역시 수준에 맞는 좋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. 아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면서도 좋은 책을 찾는 일은 아주 어렵습니다. 부모들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학교 선생님이나 독서 지도 교사들의 도움을 잘 받는 것도 아주 필요합니다.
우리 아이가 지금 어떤 지적 상태에 놓여 있는지, 책을 얼마나 접했으며, 어떤 책을 좋아하는지, 책을 읽으려는 의지를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잘 헤아리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아이들이 독서 세계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. 아무리 늦었다고 생각되더라도 이 과정을 빼놓으면 국어세계로 진입하는 길은 그만큼 멀어지고 또 불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.
수능언어영역 고득점? 무엇보다 읽는 능력을 계발하라
Q 수능의 언어 능력 시험에 어떻게 하면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?
저는 학생들이 무엇보다 읽는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봅니다. 듣고 말하는 것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것이고, 따라서 그것은 학생들이 늘 연습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이렇게 열심히, 늘 연습을 해도 학생들이 듣고 말하는 능력이 똑같지 않은 것을 보게 됩니다.
왜 그럴까요?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지적 능력의 차이 때문입니다. 즉 머릿속에 들어 있는 지식과 정보의 차이 때문에 같은 말을 들어도 이해 수준이 달라지고, 같은 뜻을 표현하려 해도 섬세함, 정확함에서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지요. 쓰는 것에 대해서는 두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. 따라서 저는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, 즉 읽는 쪽을 잘 계발하는 것이 다른 모든 것의 관건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그렇다면 문제는 읽기 쪽으로 집중됩니다. 어떻게 하면 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? 읽기 능력을 시험에서 측정할 때는 문학 지문과 비문학 지문의 두 계열이 있습니다. 이 두 부분을 고루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.
또 문학지문에는 대략 현대문학의 시와 소설, 고전문학의 지문들이 출제됩니다. 비문학 지문은 인문학 관련 지문, 사회과학 관련 지문, 과학 관련 지문 등으로 나누어 출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이 다양한 영역에 걸친 지문들을 잘 읽고 그 뜻을 헤아리고, 그에 바탕하여 얼마나 잘 추리, 판단할 수 있는가가 언어 능력 평가의 중요 목표가 됩니다. 따라서 이 각각의 영역의 언어적 구성물들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는 게 관건입니다.
그러면, 이 각각의 영역들에서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? 저는 다른 무엇보다 그러한 종류의 글들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.
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평소에 읽고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. 읽기 능력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책들만으로는 충분히 계발되지 않습니다. 무엇보다 교과서 이외의 책들을 다양하게 접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.
Q 국어공부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요.
질문이 매우 어렵습니다. 국어는 물론 학교에서 필수과목입니다. 국어책 만드는 집필진이나 국어 교사들도 체계적으로 국어를 가르치려고 노력은 합니다. 그런데 국어를 잘한다는 게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는 게 문제입니다.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잘 가르쳐 주겠지, 잘 공부하겠지 한다고 해서 잘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입니다.
제 오랜 경험으로는 어려서 책을 많이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물론 더 어려서는 부모들이 아이를 옆에 앉혀 놓고 책을 읽어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. 그렇게 해서 일찍 언어 능력이 계발된 아이만이 국어 공부에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.
어려서 부모가 책을 들려주면 그 아이는 자연스럽게 책에 가까워지게 되고 그림책이든, 동화책이든 찾게 됩니다. 물론 한글도 일찍 접하고 뗄 수 있게 됩니다. 이 과정이 제가 생각하기에는 국어공부 능력의 50% 이상을 좌우하는 것 같습니다.
이렇게 해서 어느 정도 국어공부 준비가 된 아이들이 학교로 들어오면 그 다음에는 역시 수준에 맞는 좋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. 아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면서도 좋은 책을 찾는 일은 아주 어렵습니다. 부모들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학교 선생님이나 독서 지도 교사들의 도움을 잘 받는 것도 아주 필요합니다.
우리 아이가 지금 어떤 지적 상태에 놓여 있는지, 책을 얼마나 접했으며, 어떤 책을 좋아하는지, 책을 읽으려는 의지를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잘 헤아리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아이들이 독서 세계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. 아무리 늦었다고 생각되더라도 이 과정을 빼놓으면 국어세계로 진입하는 길은 그만큼 멀어지고 또 불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.
수능언어영역 고득점? 무엇보다 읽는 능력을 계발하라
Q 수능의 언어 능력 시험에 어떻게 하면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?
저는 학생들이 무엇보다 읽는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봅니다. 듣고 말하는 것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것이고, 따라서 그것은 학생들이 늘 연습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이렇게 열심히, 늘 연습을 해도 학생들이 듣고 말하는 능력이 똑같지 않은 것을 보게 됩니다.
왜 그럴까요?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지적 능력의 차이 때문입니다. 즉 머릿속에 들어 있는 지식과 정보의 차이 때문에 같은 말을 들어도 이해 수준이 달라지고, 같은 뜻을 표현하려 해도 섬세함, 정확함에서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지요. 쓰는 것에 대해서는 두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. 따라서 저는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, 즉 읽는 쪽을 잘 계발하는 것이 다른 모든 것의 관건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그렇다면 문제는 읽기 쪽으로 집중됩니다. 어떻게 하면 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? 읽기 능력을 시험에서 측정할 때는 문학 지문과 비문학 지문의 두 계열이 있습니다. 이 두 부분을 고루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.
또 문학지문에는 대략 현대문학의 시와 소설, 고전문학의 지문들이 출제됩니다. 비문학 지문은 인문학 관련 지문, 사회과학 관련 지문, 과학 관련 지문 등으로 나누어 출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이 다양한 영역에 걸친 지문들을 잘 읽고 그 뜻을 헤아리고, 그에 바탕하여 얼마나 잘 추리, 판단할 수 있는가가 언어 능력 평가의 중요 목표가 됩니다. 따라서 이 각각의 영역의 언어적 구성물들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는 게 관건입니다.
그러면, 이 각각의 영역들에서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? 저는 다른 무엇보다 그러한 종류의 글들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.
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평소에 읽고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. 읽기 능력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책들만으로는 충분히 계발되지 않습니다. 무엇보다 교과서 이외의 책들을 다양하게 접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.